top of page
Kevin32 ©An Woong Chul.jpg

Piano
KEVIN KENNER   

  • Instagram
  • Facebook

Biography

“His recital revealed an artist whose intellect, imagination and pianism speak powerfully and eloquently.” – Washington Post The year 1990 was a milestone for pianist Kevin Kenner whose artistry was recognized throughout the world by three prestigious awards: the top prize at the International Chopin Competition in Warsaw, the International Terrence Judd Award in London, and third prize at the Tchaikovsky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Moscow. He had already won awards at the Van Cliburn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the Gina Bachauer International Competition. Kevin Kenner’s achievements have won him critical acclaim throughout the world. He has been praised as "one of the finest American pianists to come along in years" (Howard Reich, Chicago Tribune). Adrian Jack of the Independent described one of Kenner's recitals as "...the best performance I have ever heard in the concert hall of all four of Chopin's Ballades". The Financial Times described Kenner as a "player of grace, subtle variety and strength, with a mature grasp of dramatic structure and proportion: in short, a grown-up musician nearing his peak." And the Washington Post proclaimed him "a major talent… an artist whose intellect, imagination and pianism speak powerfully and eloquently." Conductor Stanislaw Skrowaczewski, who frequently performed and recording with the late Artur Rubinstein, described his collaborations with Kevin Kenner to be the most sensitive and beautiful he remembered. Born in southern California, Kenner showed his interest in piano from a very young age and studied there with Polish pianist Krzysztof Brzuza. As a teenager, Brzuza sent him to Poland to audition for the eminent professor Ludwik Stefanski, who immediately prepared him for the 1980 International Chopin Competition in Warsaw, where he was the youngest competitor and in which he received a special award from the jury. Following the death of his Polish teacher, he continued his studies for the next five years with Leon Fleisher at the Peabody Conservatory in Baltimore. As a student he benefited much from his years at the Tanglewood Music Festival where he had the occasion to work with Leonard Bernstein. Returning to Europe once again, Kenner concluded his formal training in Hannover with Karl-Heinz Kämmerling. Following his studies, Kenner made his home for many years in Europe, at first in England, where he taught at the Royal College of Music in London, then in Krakow. Since 2015 he has been teaching at University of Miami’s Frost School of Music. His students have successfully carved out careers as performers, recording artists and pedagogues, and have been recipients of major prizes of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s. Apart from his pedagogical activities, he has been invited to serve on the juries of some of the most celebrated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s including among others the Chopin and the Busoni Competitions. Kenner has also gained a reputation as a superlative performer on period instruments and has performed and recorded concertos on early instruments together with the Orchestra of the 18th Century directed by the late Frans Bruggen. His recording of Chopin’s works on an 1849 Pleyel also earned him praise from the French classical music magazine Diapason. His recent solo recording of Paderewski piano works on Paderewski’s own piano was listed as Gramophone’s CD of the month. Other recordings have included numerous discs of Chopin’s works as well as works of Ravel, Schumann, Beethoven, Piazzolla and Paderewski, the latter two having won the prize for best recording of the year from the Polish Society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in 2006 and 2012. His “Chopin Resonances” recording was singled out by Gramophone magazine as the Editor’s Choice and was nominated for the International Classical Music Awards in France. And Polish National Radio recognized him in 2015 for the best recording of Chopin’s Ballades. He has joined with string quartets such as the Escher, Belcea, Mosaiques, Apollon Musagete, Tokyo, Endellion and Vogler, and also worked as duo partner with cellist Matt Haimovitz. Since 2011 he has concertized and recorded with violinist Kyung-Wha Chung. He has performed chamber music at the Pyeong Chang Music Festival in Korea, the Verbier Festival in Switzerland and the “Chopin and His Europe” Festival in Poland.

피아니스트 케빈 케너는 1990년 제12회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1위 없는 2위)을 차지하면서 이와 더불어 폴로네이즈상을 수상하였고, 같은 해 모스크바에서 열린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쿠르에서 3위를 차지하는데 이어 국제 테렌스 저드 상 수상까지 한 해 동안 동시에 이루어내며 전세계에 이름을 알렸다. 그 이전에는 미국에서 개최된 반 클라이번 국제 콩쿠르와 지나 바카우어 국제 콩쿠르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기량을 입증한 바 있었다. 그는 미국인으로서 게릭 올슨 이후 20년 만에 등장한 쇼팽 콩쿠르 입상자였으며 쇼팽 콩쿠르와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동시에 입상한 유일한 미국인 피아니스트였고, 지금까지도 쇼팽 콩쿠르에 출전한 최고 순위 수상자(미국)로 기록되고 있다. 화려한 수상 이력으로 국제무대에 알려진 케너는 전 세계의 매체들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시카고 트리뷴의 하워드 라이히는 그를 “실로 오랜만에 등장한 미국 최고의 피아니스트 중 하나”로 칭송했고, 작곡가 겸 음악평론가 에이드리언 잭은 인디펜던트지에 기고한 연주평에서 케너의 리사이틀이 “콘서트홀에서 들은 쇼팽 발라드 전곡 연주 중 최고였다”고 평했다.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는 케너가 “음악의 극적 구조와 균형에 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우아함과 다채로움, 힘을 겸비한 연주자, 쉽게 말해 최고의 경지에 근접한 성숙한 음악가”라고 설명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자신의 지성과 상상력, 연주력을 결합해 힘 있고 유려한 음악을 만들어내는 뛰어난 연주자”라고 극찬했고, 수차례 아르투르 루빈스타인과 함께 연주한 경험이 있는 지휘자 스타니슬라브 스크로바체프스키는 케너와 함께 연주한 일이 자신이 경험한 가장 섬세하고 아름다운 작업이었다고 표현했다.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태어나 어린 나이부터 피아노에 흥미를 느낀 케너는 폴란드 출신 피아니스트 크시슈토프 브주자에게 피아노를 처음 배웠다. 케너가 청소년이 되자 브주자는 그를 폴란드의 저명한 루드빅 스테판스키 교수에게 보냈고, 케너의 연주를 들은 스테판스키 교수는 즉시 1980년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 그를 출전시킬 준비를 시작했다. 17세의 나이에 최연소 참가자로 1980년 대회에 참가한 케너는 심사위원 특별상을 받았다. 스테판스키 교수가 타계한 이후 그는 볼티모어의 피바디 음악원에 진학해 그곳에서 5년 간 레온 플라이셔를 사사했다. 피바디 음악원 재학 당시에는 탱글우드 음악제에 꾸준히 참여했고, 그곳에서 레너드 번스타인과 함께 연주하는 등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이후 케너는 독일 하노버에서 카를하인츠 케멀링을 사사했다. 학업을 마친 뒤에는 유럽에서 활동하며 11년간 영국 왕립음악원의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5년부터는 미국으로 거주지를 옮겨 마이애미 대학 프로스트 음악원에서 후학을 지도하고 있다. 오랜 기간 후학 양성을 통해 국제 피아노 콩쿠르의 주요 입상자들을 포함한 뛰어난 연주자와 교육자를 다수 배출하였고, 쇼팽 콩쿠르와 부조니 콩쿠르를 포함한 세계적 권위의 국제 피아노 콩쿠르의 심사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그는 영국과 폴란드를 비롯한 유럽 전역, 미국, 일본, 한국, 중국 등지에서 연주활동을 꾸준히 해왔다. BBC 심포니, 베를린 심포니, 바르샤바 필하모닉, 체코 필하모닉, 할레 오케스트라, 벨기에 방송교향악단, 일본 NHK 심포니 등 세계 정상급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실내악 연주자로도 꾸준한 활동을 해왔는데, 벨체아, 도쿄, 엔델리온, 포글러, 카잘스, 파노하 등 여러 현악사중주단과 함께 무대에 올랐으며, 첼리스트 매트 하이모비츠와 호흡을 맞추었고, 평창음악제, 스위스 베르비에 음악제, 폴란드의 '쇼팽과 그의 유럽' 음악제 등에서 실내악을 연주한 바 있다.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가 손가락 부상에서 복귀한 뒤 ‘자신에게 새로운 음악인생을 열어준 완벽한 음악적 동반자’라 극찬했을 정도로, 정경화의 듀오 피아니스트로서 맹활약하고 있기도 하다. 쇼팽 스페셜리스트로서 명성을 거둬온 그는 쇼팽 뿐만 아니라 라벨, 슈만, 베토벤, 파데레프스키, 피아졸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을 녹음했으며. 특히 피아졸라 음반과 파데레프스키 음반으로 각각 2006년과 2012년에 폴란드 음반산업협회에서 수여하는 올해의 음반상을 수상했다. 또한, 앨범 [프리데릭Fryderyk]은 실내악부문 폴란드 올해 최고음반상 수상, [레조넌스 Resonances]는 영국 그라모폰 에디터스 초이스에 선정되는 동시에 프랑스의 국제 클래식 음악상 후보에 올랐으며, 폴란드 국립 라디오 방송국은 최고의 쇼팽 발라드 음반으로 케너의 음반을 꼽는 등 최고의 실력을 인정받았다. 이에 대한 업적을 인정받아 2018년 12월에는 폴란드의 우치 음악 대학(Academy of Music in Łódź)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케너는 뛰어난 시대악기 연주자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프란스 브뤼헨의 지휘로 '18세기 오케스트라'와 함께 쇼팽의 협주곡을 고악기로 연주 및 녹음한 바 있고, 1848년에 제작된 플레옐 피아노로 연주한 쇼팽 음반은 프랑스의 클래식 음악 전문지 디아파종으로부터 별 5개의 “Superb” 등급을 획득하였다.

Gallery

Video